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볼링 잘치는법 - 기초편 1탄

by NuIllIIIllIll๑•̀ᗝ•́𓅆 2022. 9. 12.

볼링 잘 치는 법에 대해서 써보려고 하는데요! 제가 볼링을 취미로 시작한 지도 1년이 넘었네요. 지금은 리그 평균 190 후반 정도 나오지만 처음 시작할 때에는 공 던지러 올라가는 것부터 어려웠어서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난감했던 기억이 납니다. 볼링장에 처음 가시는 분들도 어떻게 하면 볼링을 잘 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볼링 매너

우선 볼링장에 들어가면 지켜야하는 규칙이 있습니다.

  • 볼링 전용신발로 갈아 신기
  • 바닥에 물이나 음료를 흘렸을 경우 바로 닦아주기
  • 양옆 사람에 모르는 사람이라도 투구하러 올라갔을 때는 기다렸다가 올라가기

위 3가지 사항입니다.

일반 신발이나 슬리퍼 신고 치시는 분들 간혹 보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먼지나 오물 때문에 마찰이 심해서 전용화 신고 던지기 어렵고 잘못하면 엎어질 수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음료나 물도 흘렸는데 모르고 신발 바닥에 묻는 경우에 마찰 때문에 엎어질 수 있습니다.

 

또 투구하러 먼저 올라간 사람이 집중해서 칠 수 있게 기다려주는 것이 매너입니다.

단 두 칸 세 칸 떨어져 있는 사람들까지 기다리면 너무 오래 걸리니 양옆 분들만 기다리고 치시면 됩니다. (투구하기 전에 공을 닦고 양옆에 올라간 사람이 있는지 확인하고 올라가시면 됩니다.)

 

볼링 초보 팁

  • 어딜 맞춰야 할까?

이제 양옆 확인하고 올라가서 던지려고 하는데 도대체 어느 곳에 맞춰야 할까요?

정답은 오른손잡이는 볼링핀 1번과 2번을 비스듬하게 맞히면 되고 왼손은 그 반대입니다.

하우스 볼은 동호회 사람들이 쓰는 공처럼 공 안에 쇠가 들어있는 게 아니라서 회전도 적고 가운데로 파고드는 힘도 적기 때문에 비스듬하게 맞춰서 한쪽으로 쓰러지게 하는 게 확률이 더 좋습니다!

 

  • 볼링공 잡는 법

간혹 엄지를 제외하고 중지와 약지만 넣어서 던지시는 분들이 있는데 하우스 볼은 개개인에 맞게 뚫려 있는 게 아니라서 엄지도 넣고 던지시는 게 유리하실 거예요! 

 

  • 스텝

스텝은 4걸음과 5걸음이 있는데 먼저 4걸음으로 하시고 나중에 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혹은 더 빠르게 던지고 싶으실 때 한걸음 더 늘리시면 됩니다! 첫걸음은 가볍게 한 발자국 정도만 가주시고 잡고 있는 볼링공을 앞으로 밀어주시면 됩니다.

그다음 두 번째 걸음에 공을 지면과 수직이 되는 곳까지 내리고 세 번째 걸음에 뒤로 네 번째 걸음에 다시 지면과 수직이 되는 지점에 가져오면서 던져 주시면 됩니다. 오른손잡이는 오른발부터 시작하시고 왼손잡이는 그 반대입니다.

 

  • 방향 조절

방향 조절은 처음에 공을 들고 서실 때 팔꿈치는 옆구리에 붙여주시고 양손으로 공을 들어줍니다.

이때 던져야 하는 주 손에 60% 이상 무게를 실어주시고 던져주시면 됩니다.

방향이 일자로 안 간다면 아래의 그림처럼 바닥에 보시면 세로로 칸칸이 나뉘어있는 라인이 있습니다.

그 선에 맞춰서 스윙하신다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일자로 가는 것을 맞추고 조금 오른쪽으로 이동해서 던지시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비스듬하게 맞추실 수 있습니다.

세밀하게 조정하고 싶으신 분들은 팔꿈치는 그대로 두고 앞에 공 잡은 손만 몸 안쪽 혹은 바깥쪽으로 움직여서 시작하시면 됩니다.

이전에 던졌던 자세에서 팔을 바깥쪽으로 뺀다고 하면 던져질 때 더 바깥쪽으로 갈 테고 반대도 마찬가지입니다.

볼링 던지는 자세

 

볼링 점수 계산

볼링의 만점은 300점입니다. 그리고 많이들 아시는 단어인 스트라이크는 한 번의 기회로 10개의 핀을 모두 쓰러트리는 것을 말하고 두 번에 10개를 모두 쓰러트리는걸 스페어라고 합니다. 2번의 기회 동안 모두 쓰러트리지 못하면 오픈입니다.

 

10번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고 1 프레임당 최소 한번 최대 두 번의 기회가 있습니다.

프레임 1 2 3 4 ...      
표기 X 5/ 80          
점수                

이런 식으로 스트라이크는 X로 표기 스페어는 처음에 친 개수 이후에 / 로 표기됩니다. 오픈은 친 개수가 연속해서 적어집니다. 그럼 위에 3 프레임까지 점수는 어떻게 될까요?

 

1 프레임에 10개를 모두 쓰러트렸으니 당연히 10점입니다

프레임 1 2 3 4 ...     합계
표기 X 5/ 80          
점수 10             10

 

스트라이크는 다음 두 개의 점수를 두배로 계산해줍니다.

다시 말하면 2 프레임에서 5개 쓰러트리고 또 5개 쓰러트려서 스페어를 만들었으니 5점 5점 두 개의 점수를 두배 해줍니다.

그럼 1 프레임에 점수가 20점으로 변하고 2 프레임 일단 모두 쓰러트렸으니 10점입니다.

프레임 1 2 3 4 ...     합계
표기 X 5/ 80          
점수 10+(5 + 5) 10           30

 

스페어는 다음 한 번의 점수만 두배로 계산해줍니다. 즉 8점이 추가로 적립되겠죠?

그리고 오픈한 3 프레임은 그대로 쓰러트린 개수인 8이 들어가게 됩니다.

프레임 1 2 3 4 ...     합계
표기 X 5/ 80          
점수 10+(5 + 5) 10 + ( 8 ) 8         46

 

만약 스트라이크 이후에 두 번 더 스트라이크를 친다면 어떻게 될까요?

정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음 두 번의 점수가 더해지고 1 프레임의 점수는 30점이 됩니다.

그리고 볼링장에서 보면 2 프레임과 3 프레임은 점수가 나오지 않고 합계만 나오게 되는데 그 이유는

아직 4 프레임의 점수를 모르기 때문에 얼마나 들어갈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합계에 표기되는 이유는 다음을 모두 0점을 친다고 해도 최소 점수가 60점 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만점이 300점인 이유도 알 수 있습니다.

프레임 1 2 3 4 ...     합계
표기 X X X          
점수 10+(10+10) 10 + (10+?) 10 + (?+?)         60

 

그런데 가만 생각해보면 9번과 10번 프레임에 스트라이크를 친다면?

프레임 ... 8 9 10 합계
표기 X X X X  
점수 210 10 + (10+10) 10 + (10 + ?) 10 + (? + ?) 270

8 프레임까지는 그렇다고 치고 9번과 10번 프레임에서는 다음 던지는 것이 없는데 어떻게 할까요?

정답은 10번 프레임에서 스트라이크를 친다면 두 번의 점수를 만들 기회를 받게 됩니다.

 

다시 말해서 두번 더 스트라이크를 칠 수 있게 되는 것인데 만약 스트라이크를 못 치고 9개 이하로 치게 된다면?

프레임 ... 8 9 10 합계
표기 X X X X 9  
점수 210 10 + (10+10) 10 + (10 + 9) 10 + (9 + ?) 288

위와 같이 288점이 되고 남은 한 개를 친다고 해도 289점이 되겠죠? 이해되시나요 그럼 299점은 어떻게 돼야 만들어질까요

정답은 10번 프레임에서 두 번의 스트라이크 이후 9개만 치게 되면 299점이 되게 됩니다. (무척 아쉽겠죠)

 

또 스트라이크를 연속으로 칠 때 이름이 있는데요 그 이름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1번 스트라이크 Strike
2번 더블 Double
3번 터키 Turkey
4번 포베가 4 begger
5번 파이브 베가 5 begger
6번 식스 베가 6 begger
7번 세븐 인 어 로우 7 in a row
8번 에잇 컨섹큐티브 스트라이크 8 consecutive strike
9번 나인 컨섹큐티브 스트라이크 9 consecutive strike
10번 텐 컨섹큐티브 스트라이크 10 consecutive strike
11번 일레븐 컨섹큐티브 스트라이크 11 consecutive strike
12번 퍼펙트 게임 Perfect Game

위에서 점수 계산에서 보셨듯이 스트라이크를 연속으로 붙여야 점수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이렇게 횟수별로 이름을 붙여 부르고 있습니다. (터키를 치면 화면에 칠면조 그림이 나오는데 기분이 상당히 좋습니다! )

댓글